Skip to main content

이정우

8. 📌 경계

✅ 요약하기

각자 해당 챕터에서 중요하다고 느낀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개선 전, 후에 대한 예시 코드를 비교하며 개념을 설명합니다.

  1. 외부 코드 사용하기
  • 인터페이스 제공자
    • 더 많은 고객을 얻기 위해 가용성과 적용성을 높인다.
  • 인터페이스 사용자
    • 자신의 요구에 집중하는 인터페이스를 바란다.
  • 이러한 긴장으로 시스템 경계에서 문제 발생 소지가 많다.

  1. 경계 살피고 익히기
  • 외부 코드 사용시 적은 시간에 더 많은 기능 출시가 쉬워진다. 테스트가 필수와 책임은 아니지만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.
    • 타사 라이브러리 사용시 사용법이 분명치 않다고 가정.
    • 하루이틀 문서 읽으며 사용법 결정
    • 이후 자사 코드를 작성해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
    • 버그 위치와 원인 확인에 오랜 디버깅으로 어려움을 겪는다.
  • 학습테스트
    • 자사 코드를 작성해 외부 코드를 호출하는 대신 먼저 간단한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고 외부 코드를 익히는 방법

  1. 학습 테스트는 공짜 이상이다.
  • 비용 소비 없이 이해도를 높여주는 정확한 실험이다.
  • 패키지의 새 버전 출시에 패키지가 예상대로 돌아가는지 검증한다.
  • 새 버전이 우리의 코드와 호환되지 않으면 곧바로 밝혀낸다.
  • 학습 테스트 여부와 무관하게 실제 코드와 같은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테스트 케이스가 필요하다.
    • 학습 테스트가 있다면 새 버전의 패키지로의 이전이 쉬워진다.

  1. 아직 존재하지 않는 코드를 사용하기.
  • 아는 코드와 모르는 코드를 분리하는 경계
  • 경계를 기준으로 능력, 존재의 여부 등으로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.
  • 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전 구현은 인터페이스의 전적인 통제를 가능케 한다.

  1. 깨끗한 경계
  • 경계에 위치하는 코드는 깔끔히 분리해야 한다.
  • 기대치를 정의하는 테스트케이스 작성
  • 외부 패키지 호출 코드를 줄여 경계 관리
    • 새로운 클래스로 경계를 감싼다.
    • ADAPTER 패턴을 사용해 원하는 인터페이스를 패키지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변환
    • 어떠한 방식이든 코드 가독성, 경계 인터페이스 사용하는 일관성이 높아지고 외부 패키지의 변화시 변경할 코드가 줄어든다.

2. 🤔 이해가 어려운 부분

🔍 질문하기

책을 읽으며 이해하기 어려웠던 개념이나 명확하지 않았던 내용을 정리합니다.

  1. 개념 또는 원칙의 이름
    • 어려웠던 부분
      ADAPTER 패턴은 처음 봤습니다.

  1. 개념 또는 원칙의 이름
    • 어려웠던 부분
      .
    • 궁금한 점
      .

  1. 개념 또는 원칙의 이름
    • 어려웠던 부분
      .
    • 궁금한 점
      .

3. 📚 참고 사항

📢 논의하기

관련된 자료가 있다면 공유하고, 더 깊이 논의하고 싶은 아이디어나 의견을 정리합니다.

  1. 관련 자료 공유
    • 추가 자료
      관련 블로그 글이나 공식 문서 링크를 제공합니다.

  1. 논의하고 싶은 주제
    • 주제
      논의하고 싶은 내용을 간략히 정리합니다.
    • 설명
      논의하고 싶은 이유를 작성합니다.